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버캐스트 : 범죄자 프로파일링

아카이브

by 무엇보다도 2021. 4. 1. 01:23

본문

출처: 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6682&cid=59039&categoryId=59044

2012년 8월, 나주에서 일곱 살의 어린 아이가 이불에 둘러싸인 채로 납치되어 끔찍한 성폭행을 당한 뒤 다리 밑에 남겨져 있다가 발견되었을 때, 사람들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은 거의 비슷했을 것이다. 누가, 도대체 어떠한 악마의 마음으로, 어린 아이에게 이러한 행동을 보였는가? 이번 글에서는 범죄자의 심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범인을 검거하기 위한 수사 기법 중 하나인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해 알아보자.

범죄심리학은 어떠한 학문인가?

범죄심리학은, 이러한 범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범죄자의 마음을 보다 가깝게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범죄의 원인을 알아내어, 궁극적으로 범죄의 발생을 막아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다. <출처: gettyimages>

범죄심리학은 범죄와 범죄자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과 원리를 적용하여 범죄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학문이다. 2012년 7월 제주 올레길 실종 여성의 절단된 손목이 신발에 담긴 채로 버스정류장에서 발견되었을 때, 범인이 그러한 행동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바, 혹은 달성하고자 했던 목적은 무엇인가? 자신의 범행에 대한 과시? 수사 방향을 돌리려는 이기적인 계산? 혹은 후에 검거된 범죄자 본인의 주장대로, “신체 일부라도 유족들에게 돌려주고 싶었다.”는 그의 잔인하고 비상식적인 “죄책감”의 표현? 범죄심리학은, 이러한 범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범죄자의 마음을 보다 가깝게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범죄의 원인을 알아내어, 궁극적으로 범죄의 발생을 막아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범죄자의 심리

사람들은 범죄가 발생하고 범죄자가 검거되면, 범죄의 원인을 찾고자 할 때 해당 범인으로부터 눈에 띄는 점, 즉 남들과 다른 특성을 찾아내어 이를 범죄의 원인과 결부시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출처: gettyimages>

사람들은 범죄가 발생하고 범죄자가 검거되면, 범죄의 원인을 찾고자 할 때 해당 범인으로부터 눈에 띄는 점, 즉 남들과 다른 특성을 찾아내어 이를 범죄의 원인과 결부시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10년 부산 여중생 살인 사건의 김길태는 남들과 달리 어린 시절 입양되었다는 점이, 2012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의 오원춘은 “우리 중의 하나”가 아닌 조선족이라는 점이 크게 부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범죄심리학이 밝히고자 하는 범죄의 원인이라는 것은, 이와 같이 범죄자의 한두 가지 배경 특성에만 주목하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똑같은 연쇄살인범이라고 하더라도, 유영철과 강호순의 범행 특성과 피해자 선정, 범행 동기와 살인의 목적은 판이하게 다르다. 자신의 아들이 태어났을 때 본인이 감당하기 힘든 다양하고 복합적인 감정(기쁨, 설레임, 부담감, 구속감 등)의 압박 속에서 산부인과 지하 주차장으로 내려 가 차량 20여대를 파손한 전력이 있는 유영철이 부유층 노인과 윤락 여성 살해를 통해 해소하고자 했던 욕구는, 웃는 얼굴과 유창한 언변으로 호의동승을 제안해 유인한 피해자를 차 안에서 스타킹으로 목 졸라 살해하며 피해자들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바로 눈앞에서 지켜보았던 강호순이 충족시키고자 했던 욕구와는 질적으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프로파일링의 바탕이 되는 범죄심리학적 지식

범죄심리학자는 이처럼 범죄자의 성격적, 정서적,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범죄 행위를 분석하고 설명하며, 범죄자들 간의 개인차를 밝히고 범죄자의 유형을 분류하는 등의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범죄심리학적 지식은, 범죄 현장에서 나타난 범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범인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특성(연령, 직업, 결혼 여부, 전과, 가해자-피해자 간의 관계, 거주지 등)을 추론하여 궁극적으로 범인의 검거에 기여하는 수사 기법인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근간이 된다(Douglas 외, 1986).

예를 들어 프로파일러가 살인 사건 현장을 보고 범인이 면식범인지, 아니면 비면식범인지를 가려내고자 할 때, 범죄심리학자가 국내 살인 사건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에 따른 범행 수법에서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프로파일러가 용의자의 범위를 좁히고 범인상을 그려나가는 데 있어 수사관의 직관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근거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파일링 과정에서 범죄자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의 활용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범죄자의 성공적인 검거를 끝으로 그 효용 범위가 다하는 것은 아니다. <출처: gettyimages>

이렇듯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수사 과정에서 범죄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여 수사망을 좁혀 나가는 데 일조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범죄자의 성공적인 검거를 끝으로 그 효용 범위가 다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로파일링 과정에서 수행된 범죄자의 성격이나 행동 특성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이해는, 용의자가 체포된 이후 최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진술을 받아내기 위한 효과적인 신문 전략과 면담 기법을 제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Holmes & Holmes, 2002).

예를 들어, 범행 현장에서 시신을 감추고 증거를 인멸하는 등 범행을 은폐하려는 치밀한 계산이 보이는 행동을 한 피의자를 면담할 때 프로파일러가 사용해야 할 전략은, 시신을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는 장소에 방치하고 과도한 폭력성의 표출로 피해자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기에 급급한 피의자를 면담할 때 사용해야 할 전략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확장

범행 현장의 위치나 범행 수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범죄자의 거주지를 추정하는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은, 범죄자의 조속한 검거뿐만 아니라 지리적 분석을 통해 다음 범행 장소를 예측해 범죄를 예방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 <출처: gettyimages>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점차 그 영역을 다각도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우선, 일련의 범죄 사건이 발생했을 때 범행 수법에서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동일한 범죄자에 의해서 저질러진 사건인지를 판별하는 행동적 연계 분석은 이러한 프로파일링 기법이 확장된 한 형태이다(Hazelwood & Warren, 2003). 이러한 연계 분석을 통해, 연쇄범이 검거되었을 때 미제 사건들 가운데 범행 수법에 있어 높은 일관성을 드러내는 범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제 사건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범행 현장의 위치나 범행 수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범죄자의 거주지를 추정하는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은, 범죄자의 조속한 검거뿐만 아니라 지리적 분석을 통해 다음 범행 장소를 예측해 범죄를 예방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Rossmo, 2000). 이렇듯 프로파일링 기법은, 범죄와 범죄자 등 범죄와 관련된 폭넓은 대상과 주제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내는 학문인 범죄심리학적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그 활용 범위와 발전 방향에 있어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 Douglas, J. E., Ressler, R. K., Burgess, A. W., & Hartman, C. R. (1986). Criminal profiling from crime scene analysis.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4, 401-421.
  • Hazelwood, R. R. & Warren, J. (2003). Linkage analysis: Modus operandi, ritual, and signature in serial sexual crim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8, 587-598.
  • Holmes, R. M. & Holmes, S. T. (2002). Profiling violent crimes: An investigative tool (3r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 Rossmo, D. K. (2000). Geographic profiling. Boca Raton, FL: CRC Press.[네이버 지식백과] 범죄자 프로파일링 - 범인을 잡기 위해 심리학적 지식을 이용한다? (생활 속의 심리학, 박지선)

생활 속의 심리학

  •  박지선 경찰대학 행정학과 교수[네이버 지식백과] 범죄자 프로파일링 - 범인을 잡기 위해 심리학적 지식을 이용한다? (생활 속의 심리학, 박지선)
  •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와 심리학과에서 복수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 영국 리버풀대학에서 수사심리학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뉴욕시립대인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에서 범죄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찰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있으며, [범죄심리학], [청소년대상 성범죄자 유형분류와 프로파일링],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링 제도 연구] 등의 저작이 있다.

관련글 더보기